“키다리 아저씨께서 저에게 보내 주신 가장 소중한 선물은 상상력입니다. 키다리 아저씨께서 저에게 상상력을 가지라고 말씀하셨을 때, 저는 처음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키다리 아저씨의 말씀대로 상상력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알게 되었습니다. 상상력은 세상을 더 아름답게 만드는 힘이라는 것을요. 상상력을 통해 저는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상상력을 통해 저는 어려운 일도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어릴 적에는 나에게 키다리 아저씨가 있으면 어떨까 상상했었습니다. 지금은 나도 이제 키다리 아저씨가 되는 삶을 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삶에서 상상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일인지를 가르쳐 준 소설이 바로 키다리 아저씨입니다.
줄거리
주디 애벗은 12살 때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고아가 됩니다. 고아원에서 청소와 어린 동생들을 돕는 일하며 생활하다가, 키다리 아저씨의 도움으로 집을 얻고 학교에 다닐 수 있는 행운을 얻습니다. 주인공 주디가 키다리 아저씨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으로 소설은 전개됩니다. 키다리 아저씨는 주디에게 공부할 수 있는 비용뿐만 아니라 생활비를 보태 주고, 주디가 혼자서 극복하기에 어려운 일을 겪을 때마다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주디가 원하는 꿈을 이루도록 힘을 줍니다. 주디는 키다리 아저씨의 도움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합니다. 대학을 졸업한 후 주디는 교사가 되어 간절히 기도하던 꿈을 이루게 됩니다.
시대 배경
1912년 미국에서 발표된 키다리 아저씨는 산업혁명이 배경이 된 소설입니다. 경제는 급속도로 발전했지만, 노동자들의 삶은 예전에 비해 더 어려웠습니다. 힘들고 어려운 사람을 돕는 선행은 쉽지 않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 시대에서 키다리 아저씨가 고아인 주디가 꿈을 이루도록 돕는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작가 소개
제인 웹스터는 1867년 미국에서 태어나 1916년 사망했습니다. 소설가, 시인, 극작가로 활동했으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키다리 아저씨, 앤의 마법 가게, 에밀리 로즈 등이 있습니다. 제인 웹스터는 소설가 외에도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그녀는 여성 참정권 운동과 노동 운동을 적극 응원했고, 고아와 장애인을 위한 자선 단체에 기부도 했습니다. 제인 웹스터의 이러한 사회 활동은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인 웹스터의 소설은 주로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다루고 있으며, 사회 정의와 평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제인 웹스터는 미국의 대표적인 아동문학 작가로 여겨지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키다리 아저씨는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으로도 제작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1950년대에 번역되어 출간되었습니다. 이 소설은 한국에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주는 소설로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소설은 지금도 우정, 사랑, 용기, 희망에 대한 이야기로 독자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줍니다.
감상 포인트
키다리 아저씨의 글귀는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감동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일기장에 써두고 기억하고 싶은 이 명대사들은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고, 주디처럼 꿈을 꾸게 해줍니다.
- 중요한 건 크나큰 즐거움이 아니라, 작은 것에서 커다란 즐거움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 겸손이든 체념이든 뭐라고 부르든, 그건 그저 무기력한 타성에 불과합니다.
-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십시오. 그것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남을 위해 사는 사람과 남을 이용해서 사는 사람입니다.
- 친구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곁에서 도와주는 사람입니다.
- 세상은 결코 공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꿈을 꾸어야 합니다.
- 인생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 아름다움을 놓치지 마십시오.
- 사랑은 모든 것을 이길 수 있습니다.
- 희망은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힘입니다.
'문화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킬 박사와 하이드 (0) | 2023.07.03 |
---|---|
오 헨리의 걸작 단편 소설, 마지막 잎새 (0) | 2023.07.02 |
무라카미 하루키의 첫 장편소설, 노르웨이의 숲 (0) | 2023.06.30 |
스콧 피츠제럴드의 명작, 위대한 개츠비 (0) | 2023.06.30 |
제2차 세계 대전의 기록, 안네의 일기 (0) | 2023.06.29 |